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DA
- Font
- 크래시로그
- plcrashreporter
- 자바스크립트
- 설치제거
- 블루투스 헤드셋
- 와이브로
- php
- M8200
- 한 번만 실행
- EUC-KR
- docker
- Antialiasing
- phpmailer
- crashlog
- VS2008
- JavaScript
- net
- C/C++
- GDI
- ClickOnce
- API
- protobuf-c
- self-signed ssl
- MFC
- 데이터 전달
- 기념일관리
- C#
- .net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92)
~☆~ 우하하!!~ 개발블로그

이번에는 spring boot 에서 file 을 업로드하는 기본 구조를 살펴보려고 해. 이 기본 구조를 실습해보다가 경험한 완전 어이없는 실수담도 같이 공개할거야. 개발 환경 Project: fileUpload spring boot + gradle html template : thymeleaf html 내용 우선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html 파일이 필요해. 이 파일의 이름은 files.html 이고 개발환경 IntelliJ 에서 아래 경로에 만들어 두었어. resources/templates/files/files.html 이 파일의 내용은 아래와 같아(수정에 수정을 거듭한 후 만들어진 최종 소스코드야). 파일선택: 먼저 굵은 글꼴로 표시된 코드 부분을 살펴볼께. 웹 페이지에는 로컬컴퓨터에서 파일을 선택..

https://start.spring.io 에서 Gradle – Groovy + Java + Spring Boot 3.2.2 설정으로 프로젝트를 만들었어. GENERATE 버튼을 누르면 프로젝트 소스를 zip 파일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지. 다운로드받은 zip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고 IntelliJ 에서 압축해제된 폴더를 선택하면 프로젝트가 열리거든. Build / Build Project 메뉴를 선택해서 프로젝트를 빌드해봤지. 그런데 아래처럼 에러만 주르륵 출력될 뿐이야. 에러 내용중에 Could not resolve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gradle-plugin:3.2.2 을 검색해봤어. 하나하나 점검하면서 수정을 해보자. Java (JDK) 버전 확인 개발..

Spring Boot 개발을 하는 중인데, Spring Boot 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JDK(Java Development Kit) 설치가 필수적이야. 일단 개발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서 구글에서 OpenJDK 를 설치하는 방법을 검색해서 설치했는데, 문득 OpenJDK 배포판과 버전에 대한 선택 기준이 필요하지 않을까? 를 고민해보게 되었어. 나는 남들 하는대로 그냥 따라하기보다는 내가 무언가를 고민해보는걸 좋아하거든. 구글에서 “어떤 OpenJDK 배포판을 선택해야 할지” 라는 검색어로 검색해보니 금방 답이 나오더군. 내가 찾은 가장 유용한 링크는 https://whichjdk.com/ko/ 였어. 자세한 내용은 위 링크에 가면 나와있으니까, 간단하게 요약만 할께. OpenJDK? JDK 버전은 현재 ..

에러내용 : TemplateInputException: Error resolving template [/files/files], template might not exist or might not be accessible by any of the configured Template Resolvers] with root cause 지금 윈도우에서 spring boot 를 개발하고 있어. 그런데 실제로 배포하는 OS 는 리눅스(우분투)야. OS 의 차이로 인해서 발생되는 시행착오 중에 UI template 파일(thymeleaf)의 경로 지정과 관련된 내용이야. 에러 상황 일단 윈도우 OS 에서 개발한 내용을 살펴볼께. 페이지에서 업로드된 파일의 목록을 보여주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컨트롤러 클래스를 작성했어..

서버 시스템(SW) 하나를 구축했어. 이 서버 시스템은 사용자 가입이 가능하며, 사용자 가입을 확인하기 위해서 확인 메일을 보내는 기능이 있지. 그런데 나는 메일서버가 없는거야. 그래서 메일을 발송할 수가 없어 낙담하고 있었지. 유레카~ 나에게는 Google Gmail God (GGG) 이 있었지~ 지금부터 Google Gmail 을 발송 메일로 활용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 발송전용 Gmail 계정 만들기 메일을 발송하는 전용 Gmail 계정을 하나 만들자. 이건 너무 쉬워서 설명을 생략할께. 그래도 어렵다면 요청해줘. 나는 발송 전용으로 woohaha.noreply@gmail.com 계정을 하나 만들었어. SMTP 발송을 위한 Gmail 계정 설정하기 1단계: IMAP 사용 설정 ..

CI/CD (통합/배포) 솔루션인 jenkins 는 중단없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솔루션의 하나야. 소스를 통합(Continuous Integration)하고, 통합된 소스를 서비스로 배포(Continuous Deployment)하는 과정을 책임지고 있지. Continous (지속적인) 가 공통적으로 붙어 있는게 중요해. CI/CD 에 대해서는 나중에 기회되면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하고, 일단 이 포스트에서는 jenkins 를 설치하고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 설치하기 우분투 22.04 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우분투 22.04 설치하기 – VMware VM 포스트를 참고하면 되겠어. jenkins 는 자바를 필요로 하지. 그래서 먼저 자바를 설치해주어야 해. 버전은 openjdk 17 버..

git 은 CVS, SVN 을 이어 소스 형상관리 시스템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어. github 가 등장하면서 WebUI 를 통한 소스 관리 기능이 소개되었고, 개인 또는 기업에서 자체적으로 gitlab 을 설치하여 github 를 대신하는 소스 형상관리 이상의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 이번 포스트에서는 우분투 22.04 에 gitlab 을 설치하는 방법을 살펴볼텐데, 우분투 설치하는 방법은 우분투 22.04 설치하기 – VMware VM 포스트를 참고하길 바래. 참고: gitlab 은 gitlab-ce 와 gitlab-ee 두 가지 버전이 있어. gitlab-ce (Community Edition) 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이고, 개발자나 작은 규모의 팀에 적합하지. 반면에 gitlab-ee (E..

가상 시스템으로 파일서버를 구축해서 윈도우에서나 macOS 에서 사용할만한 유용할 파일들을 저장하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어. 알아보니 가장 쉬운 방법이 리눅스에 samba 서비스를 설치하면 된다는군. 바로 설치에 들어가보자구. 대상서버 IP 주소 (호스트명) : 10.10.1.32 (files-ubuntu) samba 서비스 설치 OS 로는 우분투 22.04 를 사용할거야. 우분투 22.04 설치하는 방법은 우분투 22.04 설치하기 – VMware VM 포스트를 참고하길 바래. 삼바(samba) 서비스는 samba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설치해주면 돼. $ sudo apt install samba samba 의 서비스명은 smbd 야. 그래서 samba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는지는 smbd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