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lcrashreporter
- 데이터 전달
- Font
- 설치제거
- php
- protobuf-c
- C/C++
- ClickOnce
- C#
- 크래시로그
- M8200
- self-signed ssl
- VS2008
- PDA
- JavaScript
- Antialiasing
- EUC-KR
- MFC
- docker
- 자바스크립트
- 와이브로
- GDI
- API
- 기념일관리
- crashlog
- .net
- phpmailer
- 한 번만 실행
- 블루투스 헤드셋
- net
- Today
- Total
~☆~ 우하하!!~ 개발블로그
pfSense 모습 살펴보기 – 초기 설정 본문
pfSense 설치 및 설정 으로 WAN 과 LAN 연결하기 포스트에서 pfSense 를 설치하고 설정했는데 그 모습까지 살펴보지는 못했었지. 내부망 IP 에 접근할 수 있는 VM 이 준비가 되어야 했었어.
pfSense 설치 및 설정 으로 WAN 과 LAN 연결하기 – 우하하앱스
pfSense 는 방화벽 기능을 수행하지. 그리고 라우팅 기능도 포함되어 있어. 그래서 외부에서 들어오는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고, 내부에서 나가는 네트워크도 관리할 수 있어. 그러기 위해서는
blog.woohahaapps.com
이번 포스트에서는 내부망에 추가 설치한 윈도우 OS 가상 시스템에서 pfSense Web UI 에 접속해서 그 모습을 간단하게 살펴보려고 해.
장황하게 그 많은 기능을 살펴보기에는 무리가 있어서 주요한 내용만 간단하게 설명하고, 나머지는 모습정도만 스케치하고 넘어갈 예정이야.
우선 pfSense 에 할당된 내부망 IP 주소 10.10.1.1 에 접속 가능한 가상 시스템의 설치 과정은 생략하도록 할께. 너무나 쉬운 윈도우 OS 설치니까 과정까지 살펴보기에는 좀 그러네.
윈도우 OS 에서 웹브라우저를 열고 주소창에 https://10.10.1.1 을 입력해봤어. https://10.10.1.1 주소는 pfSense 설정을 마쳤을 때 알려준 주소였지. 상기하는 차원에서 그 내용을 다시 보여줄께.
![](https://blog.kakaocdn.net/dn/ntauz/btsFnVZXYfr/zqihd3kOAAvKGbl1irOr0K/img.png)
웹브라우저로 https://10.10.1.1 에 접속하면 가장 먼저 로그인화면이 나타나더라고.
![](https://blog.kakaocdn.net/dn/bhgNgN/btsFuJwX9mj/W3EnQGaU7j5JGVt948cKd0/img.png)
pfSense 초기 계정명과 비밀번호는 admin / pfsense 라고 알려져있어.
로그인에 성공하면 pfSense Setup 과정이 진행되기 시작해.
![](https://blog.kakaocdn.net/dn/lDYwo/btsFt6FJFuP/sbiGx3WvZk3GdMTO8skA30/img.png)
초기 비밀번호를 변경하라는 경고 문구와 함께 pfSense Setup 마법사의 초기 화면이 보여지지. 관리자계정의 비밀번호는 마법사 마지막 단계에서 변경이 가능하다는걸 미리 말해줄께. 지금 당장 변경하지 않고 마법사를 따라가 볼께.
![](https://blog.kakaocdn.net/dn/bxaUDS/btsFmj07sM3/J2qb4ZVP0SqV5wvludoFc1/img.png)
Setup 단계는 총 9단계인가봐. 그 중에 1단계에 와 있는거지. pfSense 를 개발한 회사 Netgate 는 지원이 빵빵하다는 얘기야.
![](https://blog.kakaocdn.net/dn/4prut/btsFqNUuTBH/DQwMPOGg3UpCi5Yp5MneV1/img.png)
pfSense 의 호스트명을 설정하는 단계야. 입력된 값을 그대로 사용해도 돼. 만약 도메인을 보유하고 있다면 hostname 은 pfsense, Domain 은 보유하고 있는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면 되겠네. 나는 pfsense.woohahaapps.com 을 사용할거야.
![](https://blog.kakaocdn.net/dn/zr0Zv/btsFxWvP7Xx/xnLK5rAJGu6cXEaxKqusL1/img.png)
아래쪽으로 스크롤하면 DNS Server 주소를 입력하는 칸이 보이네. 인터넷 통신사별로 DNS 서버를 제공하는데, 아래 내용을 참고해서 기록하거나 구글에서 제공하는 주소를 기록하면 되겠어.
SKT
기본 DNS : 219.250.36.130
보조 DNS : 210.220.163.82
KT
기본 DNS : 168.126.63.1
보조 DNS : 168.126.63.2
LG
기본 DNS : 164.124.101.2
보조 DNS : 203.248.252.2
구글
기본 DNS : 8.8.8.8
보조 DNS : 8.8.4.4
![](https://blog.kakaocdn.net/dn/bkI8cO/btsFpP50GWq/NowmZdK3FoNTSbx7wTD701/img.png)
Time Server 설정 화면이야. Timezone 은 Asia/Seoul 을 선택해주는게 좋겠지? 타임서버 주소는 디폴트값을 그대로 사용해도 돼.
![](https://blog.kakaocdn.net/dn/bzX20R/btsFvZM67IG/ln1WKrzHJxyDPwUykWseZk/img.png)
pfSense 에 연결된 WAN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화면이야. pfSense 설치 및 설정 포스트에서 콘솔 화면을 이용해서 설정한 값이 적용되어 있지.
가장 아래쪽으로 스크롤하면 RFC1918 Networks, Block bogon networks 항목이 보이는데, 기본값은 모두 체크된 상태야.
![](https://blog.kakaocdn.net/dn/biJSb3/btsFp8El8UU/Y2SGq4uliE60c1OJ8U1jkK/img.png)
Block private networks from entering via WAN 은 체크해제 상태로 변경해야 해. 이 항목을 체크상태로 설정하면 개인(사설) 네트워크 주소의 트래픽이 모두 차단되거든. 현재 pfSense 가 운영되는 환경이 유무선 공유기에 의해서 내부망 IP 를 발급받아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체크해제해 주어야 해. Public IP 환경이라면 체크된 상태로 두어도 되겠지.
Block non-Internet routed networks from entering via WAN 항목 역시 체크해제 상태로 변경해야 해. 이 설정을 체크된 상태로 두게 되면 사설 IP 에 해당하는 주소가 차단되는 현상이 생겨. 이 설정 역시 pfSense 가 운영되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설정값을 변경해 주어야 해.
여기서 잠깐 RFC 1918 에 대해서 알아보고 넘어갈께.
RFC 1918 주소는 이른바 사설 IP 주소체계를 말하는데, 우리가 잘 알고 있는 192.168 로 시작되는 IP 주소가 그 예야. 인터넷이 확산되면서 초기의 IP 주소 체계내에서 공인 IP 주소값이 모자라는 현상이 생기게 되었는데, 굳이 공인 IP 주소를 할당할 필요가 없는 네트워크(외부와 직접 연결되지 않는 내부 폐쇄망 네트워크)에서 192.168 로 시작되는 이른바 사설 IP 주소체계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정의한 거지.
사설 IP 주소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어.
- 10.0.0.0/8 (할당범위 : 10.0.0.0 ~ 10.255.255.255)
- 172.16.0.0/12 (할당범위 : 172.16.0.0 ~ 172.31.255.255)
- 192.168.0.0/16 (할당범위 : 192.168.255.255)
![](https://blog.kakaocdn.net/dn/bBC3oO/btsFqLWA4fz/9jzigqlKY6Pm7HPXw6f020/img.png)
다음은 내부 네트워크망 주소의 설정 화면이야. 이 값 역시 pfSense 설치 후 콘솔에서 설정해준 값이 그대로 나타나고 있으니 변경없이 Next 버튼을 눌러주면 되겠네.
![](https://blog.kakaocdn.net/dn/qtaSB/btsFm1sAh7u/5vLwNVK4dBjltzJ6nK08f1/img.png)
pfSense 관리자계정의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는 화면이 나타났네. 경우에 따라 pfSense Web UI 가 외부에서도 접속하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관리자계정의 비밀번호는 반드시 변경하는게 좋겠어.
![](https://blog.kakaocdn.net/dn/eh8B88/btsFpQ4WAHa/qDLyIi2RG04jmhuSbUT8z1/img.png)
Reload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 변경한 값들을 적용하게 되지.
![](https://blog.kakaocdn.net/dn/biJqke/btsFqYg7fbl/KQJ7PL8xBGRweDm5ojm6K1/img.png)
Reload 하는 과정이 Setup 의 8번째 단계를 차지하고 있군.
![](https://blog.kakaocdn.net/dn/xuwkW/btsFqLbdNAZ/YSC5QbhDBZSXFKsG8O7BXK/img.png)
pfSense 가 새로 변경된 값으로 reload 가 완료되면 Setup 마법사가 완료되지.
아래쪽으로 스크롤하면 Finish 버튼이 보이는데, Finish 버튼을 클릭하면 pfSense 의 초기 페이지(Status / Dashboard) 로 이동돼.
![](https://blog.kakaocdn.net/dn/LkpXu/btsFm5hjG3b/iekMGxCqLteLS6HX1ZMz9k/img.png)
pfSense 의 초기 설정 과정을 살펴봤는데, 각종 기능들은 필요할 때마다 정리해볼께.
살펴볼 예정인 기능으로는
- Firewall 설정 (NAT – Port Forward, Rules)
- HAProxy (Package)
- VPN
정도야.
'개발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22.04 에 PostgreSQL 설치하기 (1) | 2024.03.04 |
---|---|
pfSense – HAProxy (0) | 2024.03.04 |
우분투 22.04 – apache2 설치 – web server (0) | 2024.03.04 |
우분투 22.04 설치하기 – VMware VM (0) | 2024.03.03 |
pfSense 설치 및 설정 으로 WAN 과 LAN 연결하기 (0) | 2024.03.03 |